2025 민생회복 소비쿠폰 사용처 총정리 (편의점, 치킨, 병원, 스타벅스, 메가커피, 컴포즈, 배민, 배달의 민족)

2025년 7월 21일부터 신청이 시작되는 민생회복 소비쿠폰은 사용 가능한 매장이 제한적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소비쿠폰 사용 가능/불가 업종과 주요 브랜드 가맹 여부를 표로 깔끔하게 정리했습니다.

제목을 입력해주세요 001 19

민생회복 소비쿠폰 사용 가능 업종

스크린샷 2025 07 23 오전 12.24.27
  • 편의점(CU, GS25, 세븐일레븐, 이마트24 등 대부분 가맹점 OK)
  • 저가 커피 프랜차이즈(이디야, 메가커피, 컴포즈, 빽다방 등)
  • 동네 베이커리(파리바게뜨, 뚜레쥬르 등 가맹점 OK)
  • 패스트푸드, 치킨, 피자 브랜드 가맹점 (롯데리아, 맥도날드 일부, BBQ, 교촌치킨 등)
  • 병원, 치과, 한의원, 약국(미용목적 시술 제외)

민생회복 소비쿠폰 사용 불가 업종

  • 스타벅스(전국 직영점)
  • 대형마트(이마트, 홈플러스, 롯데마트, 트레이더스, 코스트코)
  • 기업형 슈퍼마켓(SSM) 전면 제외
  • 백화점
  • 온라인 쇼핑몰(쿠팡, 네이버쇼핑 등)
  • 배달앱(단, 대면 결제 시 가맹점에서 가능)

주요 브랜드 사용 가능 여부

스크린샷 2025 07 23 오전 12.24.48
업종/브랜드가맹 여부사용 가능 여부
스타벅스전국 직영점불가
CU, GS25, 세븐일레븐, 이마트24대부분 가맹점가능
이디야, 메가커피, 컴포즈, 빽다방가맹점 비율 높음가능
파리바게뜨, 뚜레쥬르, 던킨가맹점 중심가능
롯데리아, 맥도날드, 버거킹, KFC가맹/직영 혼재가맹점만 가능
올리브영가맹점 16%가맹점만 가능
다이소가맹점 30%가맹점만 가능
하나로마트대부분 제한‘면’ 지역+대체매장 없음 시만 가능

신청 방법 및 일정

온라인: 카드사 홈페이지·앱, 지역사랑상품권 앱, 토스, 카카오뱅크, 네이버페이 등 오프라인: 주소지 관할 주민센터, 제휴 은행 영업점

첫 주(7월 21~25일) 요일제 운영:

  • 월요일: 1·6
  • 화요일: 2·7
  • 수요일: 3·8
  • 목요일: 4·9
  • 금요일: 5·0

토·일요일은 온라인만 가능, 주민센터 등 오프라인 신청 불가.

찾아가는 신청 서비스

스크린샷 2025 07 23 오전 12.25.15

고령자·장애인은 지자체에 신청 시 ‘찾아가는 신청 서비스’ 이용 가능. 단, 대리 신청 가능한 가족이 있으면 서비스 제한.

사용 기한

2025년 11월 30일까지 사용해야 하며, 미사용 금액은 전액 소멸.

마무리

2025 민생회복 소비쿠폰은 지역 소상공인 가맹점에서만 사용 가능하도록 설계됐습니다. 가맹 여부에 따라 매장별로 사용 가능 여부가 다르니 꼭 현장에서 확인하시고, 기한 내에 유용하게 활용하세요!

앞으로 올라오는 더 자세한 꿀팁들이 궁금하다면, 아래의 링크를 클릭하세요.

Leave a Comment